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에 창설되어 1992년 유고슬라비아 해체로 인해 사라진 국가대표팀이다. FIFA에 가입하여 1920년 첫 경기를 치렀고, 1930년 FIFA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하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주의 연방이 수립된 후 UEFA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1960년 올림픽 금메달, 1960년과 1968년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1990년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함께 팀은 해체되었고, 이후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유고슬라비아의 FIFA와 UEFA 내 지위를 승계했다. 드라간 자이치가 최다 출전 선수, 스테판 보벡이 최다 득점 선수로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 - UEFA 유로 1976
UEFA 유로 1976은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예선을 거쳐 4개 팀이 본선에서 우승을 다툰 대회이며, 체코슬로바키아가 서독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는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에 걸쳐 진행된 축구 리그이며,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클럽이 우승을 차지하고 FK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 유럽의 없어진 축구 국가대표팀 -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열되기 전까지 존재하며 월드컵 준우승 2회, 유로 우승 1회, 올림픽 금메달 1회 등의 업적을 남긴 팀이다. - 유럽의 없어진 축구 국가대표팀 -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2년부터 1990년 독일 통일까지 존속했던 동독의 국가대표팀으로, 월드컵에 1회 진출, 올림픽 금메달 획득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독일 통일 후 해체되어 일부 선수는 통일 독일 대표팀에 합류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 | |
명칭 | '; ; ; ' |
별칭 | 플라비 (The Blues), 유럽의 브라질인 |
협회 | 유고슬라비아 축구 협회 |
최다 출장 선수 | 드라간 자이치 (85) |
최다 득점 선수 | 스체판 보베크 (38) |
홈 경기장 | 스타디온 라이코 미티치, 베오그라드 |
FIFA 코드 | YUG |
첫 경기 | ' 7–0 ( 벨기에, 앤트워프; 1920년 8월 28일)' |
마지막 경기 | ' 2–0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1992년 3월 25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 10–0 ( 브라질, 쿠리치바; 1972년 6월 14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 7–0 (벨기에, 앤트워프; 1920년 8월 28일)' ' 7–0 ( 프랑스, 파리; 1924년 5월 26일)' ' 7–0 (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 1925년 10월 28일)' |
월드컵 | |
출전 횟수 | 8회 |
첫 출전 | 1930년 |
최고 성적 | 4위 (1930년, 1962년) |
유럽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4회 |
첫 출전 | 1960년 |
최고 성적 | 준우승 (1960년, 1968년) |
올림픽 메달 | |
금메달 | 1960 로마 |
은메달 | 1948 런던 1952 헬싱키 1956 멜버른 |
동메달 | 1984 로스앤젤레스 |
발칸컵 | |
우승 | 1934–35 그리스 1935 불가리아 |
지중해 게임 | |
우승 | 1971 이즈미르 1979 스플리트 |
2. 역사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0년 첫 국제 경기를 치른 후 1992년 해체될 때까지 유럽 축구의 강호로 군림했다.
19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를 시작으로, 1948년 런던 올림픽에서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을 6-1로 꺾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48년 올림픽에서는 스웨덴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7]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는 헝가리에 이어 다시 한번 은메달을 차지했다. 특히 소련과의 경기에서 5-1로 앞서다 보브로프에게 해트트릭을 허용하며 5-5 무승부를 기록한 경기는 명승부로 회자된다.[7]
유고슬라비아는 1976년 유럽축구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FIFA 월드컵에는 8회, 유럽축구선수권 대회에는 4회 참가했으며, 196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기술적이고 공격적인 축구 스타일로 "유럽의 브라질"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7] 드라간 자이치는 85경기로 최다 출전 기록을, 스테판 보벡은 38골로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7]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은 뛰어난 육성 시스템과 다민족 국가의 특성을 살려 "동유럽의 브라질"이라고 불릴 만큼 기술과 창의력이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다. 또한, 브야딘 보슈코프, 보라 밀티노비치, 이비차 오심과 같은 명지도자들을 배출했다.
하지만 1980년 요십 브로즈 티토 사망 이후 민족주의가 급부상하면서 유고슬라비아는 붕괴 위기에 직면했다. 축구계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1990년 디나모 자그레브와 레드스타 베오그라드의 경기에서 발생한 폭동(스타디온 막시미르 폭동)은 민족 갈등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은 디에고 마라도나가 이끄는 아르헨티나와의 8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배했다. 유로 92 예선을 통과했지만,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57호에 따라 대회 참가가 금지되었다. 유고슬라비아를 대신해 참가한 덴마크가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9][10]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유고슬라비아는 여러 국가로 해체되었고, 축구 대표팀 역시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등 여러 국가대표팀으로 분열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20-1945)
최초의 국가대표팀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 사이에 존재했던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 시절에 결성되었다. 1919년 자그레브에서 ''Jugoslavenski nogometni savez''라는 이름으로 축구 연맹이 설립되었고 FIFA에 가입했다. 국가대표팀은 1920년 안트베르펜 19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체코슬로바키아를 상대로 첫 국제 경기를 치렀다. 당시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을 대표하여 데뷔전을 치른 선발 11명은 드라구틴 브르주카(Dragutin Vrđuka), 베크슬라브 주판치치(Vjekoslav Župančić), 야로슬라프 시페르(Jaroslav Šifer), 스탄코 타브차르(Stanko Tavčar), 슬라빈 친드리치(Slavin Cindrić), 루돌프 루페츠(Rudolf Rupec), 드라구틴 브라고비치(Dragutin Vragović), 아르투르 두브라브치치(Artur Dubravčić), 에밀 페르슈카(Emil Perška), 이반 그라네츠(Ivan Granec), 요반 루지치(Jovan Ružić)이다. 이들은 0-7로 크게 패했지만,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6]
1929년, 국가 이름이 유고슬라비아로 변경되었고 축구 협회는 ''Fudbalski savez Jugoslavije''가 되었으며 본부를 자그레브에서 벨그라드로 이전했다. 국가대표팀은 193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4위를 차지했다. 몬테비데오의 파르케 센트랄에서 열린 첫 번째 월드컵 경기에서 유고슬라비아는 브라질을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당시 경기에 출전한 선수는 밀로반 야크시치, 브라니슬라브 세쿨리치,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밀루틴 이브코비치, 이비차 베크, 몸칠로 죠키치,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죠르제 부야디노비치, 드라고슬라브 미하일로비치, 류비샤 스테파노비치이다. 이 팀은 평균 나이가 22세 미만으로 초대 월드컵에서 가장 어린 팀이었으며, "Los Ichachos"라는 별명으로 우루과이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국가대표팀은 세르비아 축구 클럽 선수들로 구성되었으며, 자그레브 하위 협회는 축구 협회 본부가 자그레브에서 벨그라드로 이전됨에 따라 크로아티아 클럽 선수들의 월드컵 출전을 금지했다.[6]
2. 2. 전후 시기 (1945-1992)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축구 연맹과 축구 자체가 큰 혼란을 겪었다. 전쟁 후 사회주의 연방이 수립되고 축구 연맹이 재건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1954년 UEFA 창립 회원국 중 하나였다.[7]유고슬라비아는 1948년 하계 올림픽 룩셈부르크와의 경기에서 6-1로 승리하며 시작했다. 8강전과 준결승전에서 튀르키예와 영국을 3-1로 이겼으나, 결승전에서 스웨덴에게 패했다.[7]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헝가리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 소련과의 1라운드 경기에서 경기 종료 15분을 남기고 5-1로 앞섰으나, 보브로프의 해트트릭으로 5-5 무승부를 기록했다. 재경기에서는 후반전에 상대를 압도하며 승리했다.[7]
1976년, 유고슬라비아는 유럽축구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8번의 월드컵과 4번의 유로에 참가했으며, 1960년 하계 올림픽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유럽의 브라질"이라는 별명을 얻었다.[7]
드라간 자이치는 1964년부터 1979년까지 85경기에 출전하며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최다 득점자는 1946년부터 1956년까지 38골을 기록한 스테판 보벡이다.[7]
축구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은 1945년부터 1992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존재했다.[7]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의 마지막 경기는 1992년 3월 25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네덜란드와의 경기로, 0-2로 패했다.[7]
2. 3.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그 이후 (1992-현재)
냉전 종식과 함께 민주주의 원칙이 유고슬라비아에 도입되면서 티토주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이후 국가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1990년 월드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열린 유고슬라비아-네덜란드 친선 경기에서 자그레브의 크로아티아 관중들은 유고슬라비아 대표팀과 국가를 야유하고 네덜란드 국기를 흔들었다(크로아티아 삼색기와 유사하기 때문).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함께 대표팀은 해체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의 잔여 팀은 유로 92 참가가 금지되었다. 이 결정은 대회 개막 10일 전인 1992년 5월 31일에 내려졌다.[8] 유고슬라비아는 예선 조 1위를 차지했지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57호로 인해 대회에 참가할 수 없었다. 그들의 자리는 덴마크가 차지했고, 덴마크는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9][10]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FRY는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로 구성되었다.[11][12] 1992년 유고슬라비아는 유럽 지역 예선 5조에서 2번 시드로 배정되었으나, FRY는 참가가 금지되어 해당 조는 이례적으로 약해졌다.[13][14]
1994년 보이콧이 해제되자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연합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으로서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대표팀은 2003년 국가와 팀의 이름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변경될 때까지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으로 계속 참가했다.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와 UEFA 내에서 유고슬라비아의 자리를 계승했으며, 두 기관 모두 세르비아 대표팀을 유고슬라비아(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유일한 후계자로 간주한다.[15][16][17]
1991년부터 1993년에 걸쳐 유고슬라비아가 국가로서 붕괴되면서, 동시에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도 붕괴되었다. 이후 구 유고슬라비아 구성 국가들에 의해 다음과 같은 국가대표팀이 편성되었다.
-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마케도니아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이 중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구성되었던 유고슬라비아는 2003년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정체를 변경하였고, 국가대표팀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이 되었다. 2006년에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도 해체되어 다음 두 팀이 탄생하였다.
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6년에 국제축구연맹(FIFA), 유럽축구연맹(UEFA)에 가입하였다. 코소보는 1991년에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고, 이후 코소보 대표팀은 FIFA와 UEFA에 가입 승인을 받을 때까지 코소보를 국제적으로 승인한 유일한 국가인 알바니아나 FIFA에 가입하지 않은 NF-Board 가맹국 등과 몇몇 국제 경기를 치렀다.
3. 주요 국제 대회 기록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FIFA 월드컵: 8회 출전, 최고 성적은 4위 (1930년, 1962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4회 출전, 최고 성적은 준우승 (1960년, 1968년)
- 하계 올림픽 축구: 10회 출전, 1960년 금메달, 1948년, 1952년, 1956년 은메달, 1984년 동메달
- 발칸컵: 1934-35, 1935 우승, 1929–31, 1932, 1933, 1946, 1947, 1977–80 준우승
- 지중해 게임 축구: 1971년, 1979년 금메달
대회 | 합계 | |||
---|---|---|---|---|
FIFA 월드컵 | 0 | 0 | 0 | 0 |
올림픽 | 1 | 3 | 1 | 5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0 | 2 | 0 | 2 |
합계 | 1 | 5 | 1 | 7 |
3. 1. FIFA 월드컵
FIFA 월드컵 기록 | 예선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30 | 준결승[18] | 4위 | 3 | 2 | 0 | 1 | 7 | 7 | 초청 | ||||||
1934 | 예선 탈락 | 2 | 0 | 1 | 1 | 3 | 4 | ||||||||
1938 | 2 | 1 | 0 | 1 | 1 | 4 | |||||||||
1950 | 조별 리그 | 5위 | 3 | 2 | 0 | 1 | 7 | 3 | 5 | 3 | 2 | 0 | 16 | 6 | |
1954 | 8강 | 7위 | 3 | 1 | 1 | 1 | 2 | 3 | 4 | 4 | 0 | 0 | 4 | 0 | |
1958 | 8강 | 5위 | 4 | 1 | 2 | 1 | 7 | 7 | 4 | 2 | 2 | 0 | 7 | 2 | |
1962 | 4위 | 4위 | 6 | 3 | 0 | 3 | 10 | 7 | 4 | 3 | 1 | 0 | 11 | 4 | |
1966 | 예선 탈락 | 6 | 3 | 1 | 2 | 10 | 8 | ||||||||
1970 | 6 | 3 | 1 | 2 | 19 | 7 | |||||||||
1974 | 2차 조별 리그 | 7위 | 6 | 1 | 2 | 3 | 12 | 7 | 5 | 3 | 2 | 0 | 8 | 4 | |
1978 | 예선 탈락 | 4 | 1 | 0 | 3 | 6 | 8 | ||||||||
1982 | 조별 리그 | 16위 | 3 | 1 | 1 | 1 | 2 | 2 | 8 | 6 | 1 | 1 | 22 | 7 | |
1986 | 예선 탈락 | 8 | 3 | 2 | 3 | 7 | 8 | ||||||||
1990 | 8강 | 5위 | 5 | 3 | 1 | 1 | 8 | 6 | 8 | 6 | 2 | 0 | 16 | 6 | |
합계 | 4위 2회 | 8/14 | 33 | 14 | 7 | 12 | 55 | 42 | 66 | 38 | 15 | 13 | 130 | 68 |
FIFA 월드컵에는 8회 출전했으며, 최고 성적은 1930년 대회와 1962년 대회의 4위이다. 1950년 대회 조별 리그에서 4팀 중 2위를 차지한 것을 포함하여 7번 8강에 진출했다. 이는 마지막 출전이었던 1990년 대회 종료 시점까지 11회 출전한 독일(11회), 10회 출전한 브라질(10회), 8회 출전한 잉글랜드(8회)에 이어 4위에 해당하는 기록이었다.
3. 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유고슬라비아는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유로) 본선에 4회 출전했다. 1960년 대회와 1968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자국에서 개최한 1976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7]1992년 대회에서는 예선을 통과했으나,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관련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57호로 인해 출전 자격이 박탈되었다. 유고슬라비아를 대신하여 덴마크가 출전했고, 덴마크는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개최국 / 년도 | 성적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60 | 준우승 | 2 | 1 | 0 | 1 | 6 | 6 |
1964 | 예선 탈락 | ||||||
1968 | 준우승 | 3 | 1 | 1 | 1 | 2 | 3 |
1972 | 예선 탈락 | ||||||
1976 | 4위 | 2 | 0 | 0 | 2 | 4 | 7 |
1980 | 예선 탈락 | ||||||
1984 | 조별리그 탈락 | 3 | 0 | 0 | 3 | 2 | 10 |
1988 | 예선 탈락 | ||||||
1992 | 출전 자격 박탈 | ||||||
합계 | 출전 4회 | 10 | 2 | 1 | 7 | 14 | 26 |
3. 3. 하계 올림픽
유고슬라비아는 1948년 런던 올림픽에서 룩셈부르크를 6:로 꺾고 올림픽 축구 경기를 시작했으며, 5명의 선수가 득점을 기록했다. 8강전과 준결승전에서 튀르키예와 영국을 3:로 이겼지만, 결승전에서 스웨덴에게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27]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는 "마자르 황금시대"로 불리던 헝가리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28] 소련과의 1라운드 경기에서 경기 종료 15분을 남기고 5:로 앞섰으나, 보브로프의 해트트릭 등으로 5: 무승부를 기록했다. 재경기 끝에 유고슬라비아가 승리했다.[29]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30]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축구 첫 우승을 달성했다.[31]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32]
유고슬라비아는 아마추어 선수 제도를 채택했기 때문에 올림픽에 A대표팀이 출전했으며, 1988년 하계 올림픽까지 10회 출전하여 금메달 1개(1960년), 은메달 3개(1948년, 1952년, 1956년), 동메달 1개(1984년), 4위 1회(1980년)의 성적을 거두었다.
3. 4. 지중해 게임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51년 | 불참 | ||||||||
1955년 | |||||||||
1959년 | 진출 실패 | ||||||||
1963년 | |||||||||
1967년 | |||||||||
1971년 | 금메달 | 우승 | 3 | 2 | 1 | 0 | 8 | 2 | 7 |
1975년 | 조별리그 | 5위 | 4 | 2 | 1 | 1 | 8 | 3 | 7 |
1979년 | 금메달 | 우승 | 5 | 5 | 0 | 0 | 16 | 4 | 15 |
1983년 | 진출 실패 | ||||||||
1987년 | |||||||||
1991년 | 4강 | 4위 | 4 | 2 | 0 | 2 | 13 | 5 | 6 |
1993년 이후 | 없음[33] | ||||||||
합계 | 4회 진출 (4/11) | 금메달 (2회) | 16 | 11 | 2 | 3 | 45 | 14 | 35 |
4. 유명 선수
유고슬라비아는 뛰어난 육성 시스템과 다민족 국가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유형의 선수들을 배출해왔다. 특히 공격 부문에서는 드라간 자이치나 드라간 스토이코비치와 같이 테크닉과 창의력이 뛰어난 선수들을 많이 배출하여 "동유럽의 브라질"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주요 선수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style="width:25%;" | | style="width:25%;" | | style="width:25%;" | | style="width:25%;" | |
---|---|---|---|
style="width:100%;" | |
---|
style="width:100%;" | |
---|
; 골키퍼
; 수비수
; 미드필더
; 공격수
국가가 분열된 현재에도 구 유고슬라비아 출신 선수와 지도자들은 많은 국가에서 활약하고 있다.
4. 1. 최다 출장 선수

드라간 자이치는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에서 85경기에 출전하여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
순위 | 선수명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포지션 | 활동 기간 |
---|---|---|---|---|---|
1 | 드라간 자이치 | 85 | 23 | MF | 1964–1979 |
2 | 즐라트코 부요비치 | 70 | 25 | FW | 1979–1990 |
3 | 브랑코 제베츠 | 65 | 17 | DF | 1951–1961 |
4 | 스텡판 보벡 | 63 | 38 | FW | 1946–1956 |
5 | 파룩 하지베기치 | 61 | 6 | DF | 1982–1992 |
브랑코 스타코비치 | 3 | DF | 1946–1956 | ||
7 | 이비차 호르바트 | 60 | 0 | DF | 1946–1956 |
8 | 블라디미르 베아라 | 59 | 0 | GK | 1950–1959 |
라이코 미티치 | 32 | FW | 1946–1957 | ||
베르나르드 부카스 | 22 | MF | 1948–1957 | ||
4. 2. 최다 득점 선수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는 스테판 보벡으로, 1946년부터 1956년까지 63경기에 출전하여 38골을 기록했다. 2위는 밀란 갈리치와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가 각각 37골로 공동 2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라예코 미티치가 32골, 두샨 바예비치가 29골을 기록했다.
순위 | 이름 | 득점 | 출전 경기 수 | 경기당 득점율 | 활동 기간 |
---|---|---|---|---|---|
1 | 스테판 보벡 | 38 | 63 | 0.60 | 1946–1956 |
2 | 밀란 갈리치 | 37 | 51 | 0.73 | 1959–1965 |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 | 58 | 0.64 | 1926–1938 | ||
4 | 라예코 미티치 | 32 | 59 | 0.54 | 1946–1957 |
5 | 두샨 바예비치 | 29 | 37 | 0.78 | 1970–1977 |
6 | 토도르 베셀리노비치 | 28 | 37 | 0.76 | 1953–1961 |
7 | 보리보예 코스티치 | 26 | 33 | 0.79 | 1956–1964 |
8 | 즐라트코 부요비치 | 25 | 70 | 0.36 | 1970–1977 |
9 | 드라간 자이치 | 23 | 84 | 0.27 | 1964–1979 |
10 | 베르나르드 부카스 | 22 | 59 | 0.37 | 1948–1958 |
4. 3. 주요 선수 목록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FIFA 월드컵과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도 여러 차례 출전했다.[7] '유럽의 브라질'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기술적이고 공격적인 축구를 구사했다.[7]드라간 자이치는 1964년부터 1979년까지 85경기에 출전하여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스테판 보베크는 1946년부터 1956년까지 38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 기록을 가지고 있다.
다음은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에서 활약한 주요 선수 목록이다.
순위 | 선수명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포지션 | 활동 기간 |
---|---|---|---|---|---|
1 | 드라간 자이치 | 85 | 23 | MF | 1964–1979 |
2 | 즐라트코 부요비치 | 70 | 25 | FW | 1979–1990 |
3 | 브란코 제베츠 | 65 | 17 | DF | 1951–1961 |
4 | 스테판 보베크 | 63 | 38 | FW | 1946–1956 |
5 | 파루크 하지베기치 | 61 | 6 | DF | 1982–1992 |
브란코 스탄코비치 | 3 | DF | 1946–1956 | ||
7 | 이비차 호르바트 | 60 | 0 | DF | 1946–1956 |
8 | 블라디미르 베아라 | 59 | 0 | GK | 1950–1959 |
라이코 미티치 | 32 | FW | 1946–1957 | ||
베르나르드 부카스 | 22 | MF | 1948–1957 | ||
순위 | 이름 | 득점 | 출전 경기 수 | 경기당 득점율 | 활동 기간 |
---|---|---|---|---|---|
1 | 스테판 보베크 | 38 | 63 | 1946–1956 | |
2 | 밀란 갈리치 | 37 | 51 | 1959–1965 | |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 | 58 | 1926–1938 | |||
4 | 라이코 미티치 | 32 | 59 | 1946–1957 | |
5 | 두샨 바예비치 | 29 | 37 | 1970–1977 | |
6 | 토도르 베셀리노비치 | 28 | 37 | 1953–1961 | |
7 | 보리보예 코스티치 | 26 | 33 | 1956–1964 | |
8 | 즐라트코 부요비치 | 25 | 70 | 1979–1990 | |
9 | 드라간 자이치 | 23 | 85 | 1964–1979 | |
10 | 베르나르드 부카스 | 22 | 59 | 1948–1958 |
포지션별 주요 선수
- 골키퍼
- 블라디미르 베아라: 1950년부터 1959년까지 59경기에 출전했다.
- 밀루틴 쇼슈키치: 1959년부터 1966년까지 50경기에 출전했다.
- 토미슬라브 이브코비치
- 수비수
- 밀루틴 이브코비치: 1925년부터 1934년까지 활동했으며, 1930년 FIFA 월드컵에서 주장을 맡았다.
-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1927년부터 1934년까지 활동했다.
- 브란코 스탄코비치: 1946년부터 1956년까지 활동했다.
- 브란코 제베츠: 1951년부터 1961년까지 활동했으며, 1958년 FIFA 월드컵에서 주장을 맡았다.
- 파르후딘 유수피: 1959년부터 1967년까지 활동했다.
- 벨리보르 바소비치: 1961년부터 1966년까지 활동했다.
- 토미슬라브 츠른코비치
- 레픽 샤바나조비치
-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 미드필더
-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193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1953년부터 1960년까지 감독을 역임했다.
- 즐라트코 차이코프스키: 1946년부터 1955년까지 55경기에 출전했다.
- 베르나르드 부카스: 1948년부터 1957년까지 59경기에 출전했다.
- 부야딘 보슈코프: 1951년부터 1958년까지 활동했다.
- 드라고슬라브 세쿨라라츠: 1956년부터 1966년까지 활동했다.
- 드라간 자이치: 많은 사람들에게 유고슬라비아 역사상 최고의 선수로 여겨진다.
- 일리야 페트코비치: 폭발적인 오른쪽 윙어로 1968년부터 1974년까지 활동했다.
- 블라디미르 페트로비치: 창의적인 미드필더로 1973년부터 1982년까지 활동했다.
- 사펫 수시치: 1977년부터 1990년까지 활동했다.
-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1983년부터 유고슬라비아 해체까지 활동했다.
- 데얀 사비체비치: 1986년부터 유고슬라비아 해체까지 활동했다.
- 메흐메드 바주다레비치
- 알료샤 아사노비치
- 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
- 로베르트 야르니
- 스레츠코 카타네치
- 공격수
- 라이코 미티치: 1946년부터 1957년까지 59경기에 출전하여 32골을 기록했다.
- 스테판 보베크: 38골로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역사상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밀로시 밀루티노비치: 1953년부터 1958년까지 33경기에 출전하여 16골을 기록했다.
- 보라 코스티치: 1956년부터 1964년까지 33경기에 출전하여 26골을 기록했다.
- 드라잔 예르코비치: 1962년 FIFA 월드컵에서 최다 득점자였다.
- 밀란 갈리치: 1959년부터 1965년까지 51경기에 출전하여 37골을 기록했다.
- 요시프 스코블라르: 1971년 유러피언 골든슈 수상자로 32경기에 출전하여 11골을 기록했다.
- 두샨 바예비치: 1970년부터 1977년까지 37경기에 출전하여 29골을 기록했다.
- 다르코 판체프: 1991년 유러피언 골든슈 수상자로 1984년부터 유고슬라비아 해체까지 활동했다.
- 이비차 오심
- 바히드 할릴호지치
-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5. 역대 감독
감독 | 기간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
이비차 오심 | 1986–1992 | 51 | 27 | 10 | 14 |
이반 토플라크, 이비차 오심 | 1986 | 3 | 1 | 1 | 1 |
밀로시 밀루티노비치 | 1984–1985 | 15 | 7 | 3 | 5 |
토도르 베셀리노비치 | 1982–1984 | 18 | 9 | 3 | 6 |
밀랸 밀랴니치 | 1979–1982 | 22 | 18 | 2 | 2 |
드라잔 예르코비치 | 1978 | 1 | 1 | 0 | 0 |
안테 믈라디니치 | 1978 | 2 | 0 | 0 | 2 |
슬라브코 루슈티차 | 1978 | 0 | 0 | 0 | 0 |
스테반 빌로티치 | 1978 | 2 | 0 | 2 | 0 |
마르코 발록, 스테반 빌로티치, 고이코 제츠 | 1977 | 6 | 1 | 2 | 3 |
이반 토플라크 | 1976–1977 | 8 | 2 | 0 | 6 |
안테 믈라디니치 | 1974–1976 | 15 | 9 | 2 | 4 |
밀랸 밀랴니치, 밀란 리바르, 술레이만 레바츠, 토미슬라브 이비치, 밀로반 치리치 | 1973–1974 | 11 | 3 | 3 | 5 |
부야딘 보슈코프 | 1971–1973 | 27 | 10 | 12 | 5 |
라지코 미티치 | 1967–1970 | 34 | 13 | 10 | 11 |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밀랸 밀랴니치, 라지코 미티치, 부야딘 보슈코프, 브란코 스탄코비치 | 1966 | 4 | 2 | 0 | 2 |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밀랸 밀랴니치 | 1966 | 2 | 0 | 1 | 1 |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밀란 안톨코비치, 밀랸 밀랴니치 | 1966 | 3 | 1 | 0 | 2 |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밀란 안톨코비치, 밀랸 밀랴니치, 압둘라 게기치 | 1965 | 7 | 2 | 3 | 2 |
류보미르 로브리치 | 1964 | 11 | 3 | 1 | 7 |
류보미르 로브리치, 후고 루셰블랴닌 | 1963–1964 | 7 | 5 | 0 | 2 |
류보미르 로브리치, 프르보슬라브 미하일로비치, 후고 루셰블랴닌 | 1961–1963 | 22 | 15 | 2 | 5 |
드라고미르 니콜리치,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류보미르 로브리치 | 1959–1961 | 29 | 16 | 8 | 5 |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 1955–1958 | 34 | 13 | 11 | 10 |
브란코 페시치,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레오 레메시치, 프란요 뵐플, 밀로반 치리치 | 1954 | 9 | 5 | 2 | 2 |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레오 레메시치 | 1952–1954 | 18 | 14 | 2 | 2 |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 1949–1952 | 23 | 15 | 3 | 5 |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 1946–1948 | 18 | 12 | 1 | 5 |
스베토자르 포포비치 | 1940–1941 | 3 | 1 | 2 | 0 |
보슈코 시모노비치 | 1939–1940 | 4 | 1 | 1 | 2 |
스베토자르 포포비치 | 1939 | 1 | 0 | 0 | 1 |
보슈코 시모노비치 | 1939 | 4 | 1 | 0 | 3 |
스베토자르 포포비치 | 1937–1938 | 13 | 4 | 5 | 4 |
니콜라 시미치 | 1936 | 4 | 1 | 1 | 2 |
보슈코 시모노비치 | 1935 | 5 | 3 | 2 | 0 |
이보 슈스테, 마타 미오드라고비치, 페타르 플레셰 | 1934–1935 | 6 | 3 | 0 | 3 |
보슈코 시모노비치 | 1933–1934 | 6 | 3 | 1 | 2 |
브라니슬라브 벨리코비치 | 1933 | 6 | 3 | 1 | 2 |
보슈코 시모노비치 | 1930–1932 | 24 | 12 | 1 | 11 |
안테 판다코비치 | 1926–1930 | 19 | 7 | 2 | 10 |
두샨 지나야 | 1924–1925 | 3 | 0 | 0 | 3 |
토도르 세쿨리치 | 1924 | 1 | 0 | 0 | 1 |
벨코 우그리니치 | 1920–1924 | 10 | 3 | 1 | 6 |
6. 유니폼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다양한 유니폼을 사용했다. 다음은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사용한 유니폼에 대한 정보이다.
연도 | 유니폼 |
---|---|
1930년 | -- |
1950년–1968년 | -- |
1974년 | -- |
1976년 | -- |
1982년 | -- |
1984년 | -- |
1990년 | -- |
1992년 | ![]() |
참조
[1]
웹사이트
A farewell to Yugoslavia
http://www.opendemoc[...]
2002-04-10
[2]
웹사이트
Jugoslavija – Venecuela 10–0
http://www.reprezent[...]
2009-10-14
[3]
웹사이트
1974 FIFA World Cup Germany ™ – Matches – Yugoslavia-Zaire
https://web.archive.[...]
[4]
뉴스
SOCCER; Yugoslav Athletes Banned
https://www.nytimes.[...]
1992-06-01
[5]
웹사이트
Yugoslavia Banned From 1994 World Cup Soccer Play
https://archive.seat[...]
[6]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ss.rs/sr[...]
[7]
웹사이트
90: 'The team was far better than the country' – The lost brilliance of Yugoslavia
https://www.fourfour[...]
2014-06-04
[8]
웹사이트
S/RES/757(1992) – e – S/RES/757(1992) -Desktop
https://undocs.org/S[...]
[9]
웹사이트
Yugoslavia barred from European Championships
https://www.upi.com/[...]
[10]
웹사이트
Sports ban hits Yugoslavia
https://www.upi.com/[...]
[11]
웹사이트
Yugoslavia and the breakup of its soccer team
http://www.cbc.ca/sp[...]
[12]
웹사이트
The Splintering of Yugoslavia and Its Soccer Team
https://www.vanityfa[...]
2010-06-02
[13]
웹사이트
Yugoslavia banned for 1994 World
https://www.upi.com/[...]
[14]
뉴스
Slavisa Jokanovic: 'Euro 92 was taken away from us. We were better than Denmark'
https://www.theguard[...]
2020-05-29
[15]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ss.rs/sr[...]
[16]
웹사이트
Serbia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News: Serbia
http://www.uefa.com/[...]
2011-01-01
[18]
웹사이트
1930 FIFA World Cup Uruguay 1930
https://web.archive.[...]
FIFA.com
[19]
뉴스
ブラジル紙、歴史的な敗戦と報じる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4-07-09
[20]
웹사이트
Yugoslavia 8-4 Brazil
http://www.footballz[...]
footballzz.com
[21]
웹사이트
Selektori i selektorske komisije 1920 - danas
http://www.reprezent[...]
Orlovi : Fudbalska reprezentacija Srbije
[22]
뉴스인용
<홍콩국제축구> 3년만에 국제무대 복귀한 유고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1995-02-02
[23]
문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24]
문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25]
문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26]
문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27]
문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28]
문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29]
문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30]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31]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32]
문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33]
문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